주요활동

진단·평가 및 치료·교육 절차

상담 진단·평가 절차

언어발달평가 심리평가 감각통합평가
닫기

언어발달 진단·평가

언어진단·평가는 I. 언어 이전기 및 영아기, II. 유아기 및 학령전기, III. 학령기 및 청소년기로 구분하여, 각 연령에 맞는 도구나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합니다. 언어진단·평가는 첫째 부모상담, 둘째 표준화된 공식검사도구, 셋째 놀이활동 및 행동관찰 등의 절차를 거쳐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아동(청소년)의 언어를 표집합니다.

그리고 포괄적으로는 수용언어(이해)와 표현언어 측면에서, 세부적으로는 어휘력, 구문력(문법적 요소 포함), 조음(발음) 능력, 화용능력(대화 및 담화), 문자학습 능력 등의 측면에서 아동의 언어능력을 분석합니다.

심리 평가

심리평가는 구조화된 상황에서 부모-아동 간 관계를 관찰하고 사정하는 ‘MIM을 통한 상호작용 평가’로 이루어집니다. 이 평가는 간단한 과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 과정을 통해 두 개인 간의 관계 상 어려움을 살펴보고,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합니다. 또한 관계 안에서 아동과 성인 각각의 강점, 특히 아동의 상호작용 방식과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등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결과들은 추후 피드백을 통해 아동에게 필요한 것,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등을 부모와 함께 모색하는데 기초가 됩니다.

이밖에 그림 검사(HTP, KFD), 문장완성검사, MMPI-2, TCI, MBTI 등의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아동 개인의 성격적 특성, 대인관계 및 정서적 어려움 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 평가

감각통합평가는 발달 검사, 감각력 검사, 임상 관찰 등을 통하여 아동의 발달 및 감각통합 정도를 판별합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하여 첫째 아동의 감각통합체계 중 어떤 부분에 불편함이 있는지, 둘째 일상생활의 어려움은 무엇이고 어느 정도인지 분석합니다.

또한 아동에게 필요한 감각활동이 무엇인지를 부모님과 상의하여,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감각식이요법들을 다양하고 재미있는 활동으로 계획합니다.